일반적인 의미로서는 속도를 조절한다는 뜻이 있으나 산업환기에서는 오염물질을 후드 쪽으로 흡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 풍속을 말한다. 주변 공기의 유동이 적거나 오염물질이 발생될 때 운동량이나 열이 거의 없을 때는 아주 약한 제어풍속으로도 오염물질을 후드 쪽으로 흡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풍속은 주변 공기의 흐름이나 열 등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국소배기장치의 제어풍속은 모든 후드를 개방한 경우의 제어풍속을 말하고 후드 형태에 따라 포위식 후드에서는 후드 개구면에서의 풍속을, 외부식 후드에서는 당해 후드에 의하여 유해물질을 빨아들이고자 하는 범위 안에서 당해 후드 개구면으로부터 가장 먼 거리의 오염원위치에서의 풍속을 말한다.
출처 : 산업재해예방 안전보건공단 [홈>자료마당>법령/고시>고시 및 지침>안전보건용어사전]
'법규 > 환경안전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과 속도 (filtration velocity , 濾過速度) (1) | 2022.10.04 |
---|---|
최소반송속도 (最小搬送速度, minimum transport velocity) (0) | 2022.10.04 |
반송속도 (搬送速度, transport velocity) (0) | 2022.10.04 |
포위식 후드 (包圍式-, enclosing hood) (0) | 2022.09.28 |
측방형후드 (側方形 -, lateral exhaust hood) (0) | 2022.09.28 |